애드센스가 언젠가부터 업데이트가 되었는지, 티스토리 블로그에 애드센스 승인 신청을 할 때의 화면이 조금 바뀌었습니다. 관련된 글들을 검색을 해 보면 애드센스 신청을 하고 나오는 코드를 스킨편집 HTML에 들어가서 HEAD 부분에 넣으라는 설명이 많죠. 하지만, 지금은 그렇게 하려고 하면..

위 화면만 만나게 됩니다. 가장 오른쪽에 '코드 가져오기'가 있군요. 눌러보겠습니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만 만납니다. 도통 코드가 어디 있는지 알 수가 없는 것이지요. 그런 상황에서 답답함을 느끼는 분들이 많을텐데, 아래 2가지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티스토리 애드센스 신청하는 방법
티스토리로 애드센스 신청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티스토리에서 잘 만들어 놓은 수익 메뉴를 그냥 쉽게 이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기존의 정통 방식인 HTML코드 수정해서 붙여넣기 입니다.
티스토리 수익 메뉴 이용하기
사실 애드센스 화면에서 티스토리로 이동하라고 하는 이유는 이 방법으로 애드센스를 연결하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메뉴 들어가서 왼편에 있는 메뉴중 '수익'을 누르면 구글 애드센스와 연동할 계정을 선택하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이곳에서 구글 애드센스 계정하고 연동을 시키면 아래와 같이 수익 - 애드센스 관리 화면이 활성화 되죠.

그 메뉴로 들어가서 '광고 설정'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부분의 광고를 활성화 시켜 두면 됩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활성화를 미리 시켜 놓으면, 애드센스에서 필요한 광고 확인용 코드가 저절로 삽입이 됩니다. 즉, HTML편집은 하나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게다가 광고도 알아서 자동으로 넣어주죠.
이 방식으로 하면 승인이 나면 동시에 광고가 원하는 위치에 송출된다는 것입니다.
HTML코드 확인해서 수정하기
그럼 HTML코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을 해 보겠습니다. 위에서 보였던 화면 말고 왼편에 보면 메뉴가 있습니다. 메뉴를 눌러보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있죠.

이 중에서 '광고' - 개요로 메뉴 이동을 합니다.

그럼 오른편에 위와 같은 화면을 만나게 되는데, 여기에 '코드 가져오기'가 있습니다. 그것을 누르면 우리가 찾고자하는 광고 코드가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캡쳐를 확인해 보세요.

사이트의 <head>와 </head> 사이에 우리가 잘 아는 그 코드를 붙여 넣으면 됩니다. 이 코드를 스킨편집에 들어가서 넣으면 작업이 끝납니다.
둘 중에 어느 것이 더 편한가요? 저는 티스토리에서 제공해 주는 기능이 훨씬 편하다고 생각합니다. 수동으로 광고를 잘 넣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분들도 많죠. 하지만, 그것은 정말 방문자 수가 많은 경우에 그리 투자를 할 필요가 있는 것 같고.. 일반적으로 그냥 소소하게 블로그를 재미로 하는 분이라면 굳이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 봅니다.
즉, 가능하면 티스토리에서 만들어 놓은 솔루션을 그대로 사용하세요. 그것이 티스토리에서 원하는 방식이고 방향입니다.
'나만 알기 아까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 승인 쉽게 받으려면 도메인 활용 필수인가 (0) | 2022.03.16 |
---|---|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 이정모 (0) | 2022.01.27 |
어쩌면 글쓰기는 본능이다. (0) | 2022.01.21 |
포레스텔라 라젠카 (0) | 2022.01.09 |
통누락을 당하지 않는 방법 (0) | 2021.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