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서비스를 이용하다보면 나쁜 용도로 사용하는게 아니어도 카카오 계정이 몇 개 더 필요한 경우가 생길 때가 있습니다. 돌려 말하느라 말이 꼬이는 듯한 느낌인데, 쉽게 말하면 카카오 계정이 용도에 따라 많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티스토리 블로그를 하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카카오 계정이 많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카카오계정은 개인정보 입력 없이 아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카카오계정 만들기
카카오계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카카오 회원가입을 해야겠죠? 어디서 가입하는지 모르시는 분들도 있을 수 있으니, 주소를 알려드리죠. 아래 주소로 가시면 됩니다.
이미 카카오계정에 로그인 된 상태라면 화면이 다를 것이니, 그때는 로그아웃을 하시고 다시 들어가면 아래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
우측에 보이는 메뉴의 하단을 살펴보면 '회원가입'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회원가입을 누르면 카카오계정을 생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미 이메일이 있으면 '이메일이 있습니다'를 선택하면 되고, 새 이메일이 필요하면 카카오 메일 주소를 하나 만들면서 카카오계정을 만들게 됩니다. 이때 핸드폰 번호 인증을 받기 때문에 인증 받을 수 있는 핸드폰 번호가 없다면 사용하던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이메일이 있다고 선택하고 진행하면 약관에 동의하라고 합니다. 동의는 해 줘야죠. 선택 사항은 동의하지 않아도 카카오계정 이용하는데 문제는 없습니다.
이어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할 이메일 주소가 구글 지메일이었으면 구글 지메일은 아래와 같은 특성이 있습니다.
- 메일 주소 사이에 들어가는 '.' 기호는 따로 인식하지 않는다
- 메일 주소 뒤에 +숫자 등의 구분기호로 넣어도 같은 메일로 인식한다.
즉, 내이메일@gmail.com 을 구글 메일로 사용하고 있다면, 내.이메일@gmail도 내이메일 메일함으로 온다는 뜻이죠. 이런 주소가 카카오계정에서는 각각 따로 인식되었었습니다.
내이메일@gmail 으로 카카오계정을 만들었어도 내.이메일@gmail 로 추가 가입이 가능했다는 뜻이죠. 게다가 내이메일+1@gmail 과 같은 형태로 확장하면 그야말로 하나의 지메일 주소로 무한대로 카카오계정을 가입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카카오에서 최근 뭔가 업데이트를 했는지 이 방법이 안 먹히네요.
위와 같이 한번도 사용하지 않았던 숫자를 적어서 시도를 해 봤더니, 이런 메세지가 뜹니다.
이미 카카오계정에 사용중인 이메일이라고 뜹니다. 아.. 이제 카카오에서 막았네요. 앞으로 지메일의 무한 서비스 이용 방식으로는 카카오계정을 무제한으로 만들기가 어려워졌습니다.
이게 모든 이메일에 다 해당되진 않더군요. 조금 오래된 이메일 주소로 테스트를 해 보니, 되는 이메일 아이디도 있기는 합니다. 그걸 카카오에서 어떻게 구분하는지는 모르겠으나, 모두 안 되는 것은 아니다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아무튼, 일반적으로 최근 이메일 주소에서는 막혔습니다. 앞으로는 아예 새로운 지메일 계정을 사용하거나, 기타 다른 메일 서비스 주소를 이용해서 카카오계정을 추가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너무 많이 만들어지고 있으니 이런 제한 조치를 취한 것이겠죠?
불법이 아니더라도 너무 많은 계정은 관리가 어려울 수 있으니, 꼭 필요한 경우만 카카오 계정을 만들도록 합시다.
'나만 알기 아까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텐츠가 없거나 가치가 낮은 콘텐츠를 포함한 화면" 해결 방법 (2) | 2022.06.27 |
---|---|
애드센스 탈락 사유 : 게시자 콘텐츠가 없는 화면에 Google 게재 광고 (0) | 2022.06.12 |
품종에 따라 개의 성격이 결정되지는 않는다 (0) | 2022.05.06 |
기가 막히는 메인페이지구만 (0) | 2022.05.02 |
사무 환경 개선을 위해 DDR4 8GB 메모리 구입 (0) | 2022.04.26 |